본문 바로가기

WAS/JBoss_WildFly

(22)
[JBoss/WildFly] https로 Management Console 접속 #. 참고 RedHat 문서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2786471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1284463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red_hat_jboss_enterprise_application_platform/6.4/html/security_guide/configure_the_management_console_for_https_in_standalone_mode #. 참고 글 https://m.cafe.daum.net/bboybeatbox/2cL2/53 https://jboss.openmaru.io/docs/15.Logging_SubSystem.html #. 내부 테..
[JBoss/WildFly] request 수행 시간이 특정 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kill 가능한지 #. 참고 RedHat 문서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497663 request 수행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였을 시에 이를 강제로 kill 시키는 것은 WAS 레벨에서는 불가하다. WEB - WAS 간 proxy 플러그인 구간에서 request timeout 설정을 통해 이를 구현해야 한다. Apache - JBoss 연동 시에 modjk 를 사용할텐데, socket_timeout 과 reply_timeout 옵션으로 시간을 조절하면 된다. 상세 내용은 아래 글 참고 https://hyuunchul.tistory.com/266
[JBoss/WildFly] Server 헤더, X-Powered-By 헤더 제거 #. 참고 RedHat 문서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158523 #. 참고 블로그 글 http://www.opennaru.com/jboss/jboss-remove-x-powered-by/ #. 서버 정보가 노출되는 보안취약점 Server 헤더와 X-Powered-By 헤더 정보가 노출되면 어떤 WAS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지 외부로 노출되어 보안취약점이 발생한다. 다른 값으로 변경하거나, 헤더 자체를 보이지 않게끔 조치해야 한다. #. Server 헤더 조치 JBoss 기동 명령어에 아래 옵션을 추가. -D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tocol.SERVER="원하는값" 해당 옵션의 이름 값은 자유롭게 설정 가능 아래 예시와 같이 Se..
[JBoss&WildFly] stdout 로그에서 ^[[0m^[[ 문자열 제거하는 방법 [BEFORE] %K{level}을 제거 [AFTER] [옵션 적용 전] [옵션 적용 후] 문서상에서 밝힌 원인은 color code를 포함하는 ANSI escape sequences입니다. JBoss의 경우 에러가 발생하면 ERROR 성 로그가 색상이 입혀져서 출력이 되는데, 이것을 원치 않는 경우에도 %K{level}를 제거할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테스트를 했을 시, 재기동을 하자마자 바로 옵션이 적용이 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부터 ^[[ 문자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JBoss/WildFly] Example DS 데이터소스, h2 JDBC Driver 삭제하기 #. 참고 레드햇 문서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2360921 #. ExampleDS 삭제 Example DS 삭제 후 서버 재기동 시 아래와 같이 dependency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Subsystem -> EE -> Default Bindings 메뉴로 이동 Datasource 항목의 java:jboss/datasources/ExampleDS 내용을 삭제해야 한다. #. h2 JDBC Driver 삭제 ExampleDS를 삭제하고 나면 h2 드라이버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JBoss/WildFly] standalone mode - data, tmp 디렉토리 삭제로 인한 프로세스 shutdown 불가 상황 standalone 모드 기동 시 아래 jvm 옵션으로 server 홈 디렉토리 지정이 가능하다 -Djboss.server.base.dir 프로세스 기동 시, server.base.dir 디렉토리 하위에 data, tmp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각종 cache 데이터 정리를 위해 data, tmp 디렉토리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해당 디렉토리 삭제는 반드시 프로세스 shutdown 상태에서만 진행해야 한다. 서버 프로세스가 기동 된 상태에서 data, tmp 디렉토리 삭제 시 프로세스 shutdown 자체가 불가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case #01. tmp 디렉토리가 없는 경우 서버 프로세스 shutdown 명령어 실행 시 아래와 같이 username과 password를 수동으로 입력해..
[JBoss/WildFly] 데이터소스 pool 사용량 체크 cli 명령어 참고 글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268793 datasource_statistics.sh #JAVA_HOME export JAVA_HOME=/usr/jdk/jdk1.8.0_202 #--------------------------------------------------------------------------- #server_properties JBOSS_HOME=/app/jboss/jboss-eap-7.4 IP_ADDRESS=192.168.55.169 MANAGEMENT_PORT=9100 #--------------------------------------------------------------------------- #datasource_name DA..
[JBoss/WildFly] session clustering 설정 (JGroups 사용) #. 참고 글 (클러스터링 설정 방법) https://chanchan-father.tistory.com/769 https://chanchan-father.tistory.com/980 https://jboss.openmaru.io/docs/16.JBossEAP6_Clustering.html (각 소캣 별 역할) http://www.opennaru.com/jboss/jboss-eap-socket-binding/ (full-ha 프로파일 사용 시 활성화되는 activeMQ 모듈의 password 변경 가이드)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327229/amq119099-unable-to-authenticate-cluster-user-activemq-cluster-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