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LINUX, UNIX

(24)
[Linux] 커널 파라미터 - 네트워크 파라미터 튜닝 #. 참고 글 https://wiki.kreonet.net/faster-data/%EB%A6%AC%EB%88%85%EC%8A%A4-%EB%84%A4%ED%8A%B8%EC%9B%8C%ED%81%AC-%ED%8A%9C%EB%8B%9D-51119548.html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red_hat_enterprise_linux/8/html/monitoring_and_managing_system_status_and_performance/tuning-tcp-connections-for-high-throughput_tuning-the-network-performance https://meetup.nhncloud.com/posts/53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을 find 하기 (ClassNotFoundError, NoClassDefFoundError, NoSuchMethodError 원인 파악) 어플리케이션 deploy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이 있다. ClassNotFoundError, NoClassDefFoundError, NoSuchMethodError 어플리케이션 내 라이브러리와 WAS서버 내 라이브러리 간 우선순위 충돌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어플리케이션 내 라이브러리에 특정 jar 파일이 없어서 발생하는 의존성 문제가 대부분이다. jar 파일의 버전이 너무 낮거나 높아서 발생하기도 한다. ClassNotFoundError, NoClassDefFoundError, NoSuchMethodError 등의 에러 발생 시 WAS 서버 로그에 어떤 class나 method가 문제되어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확인 가능하다. 해당 class 혹은 method 명을 포함하는 jar..
[UNIX/LINUX] grep 시 윗줄, 아랫줄 내용 같이 출력하기 #01. LINUX 환경 CentOS7 로 테스트 하였음 참고 글 : https://eat-hokey.tistory.com/7 test.log 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아래 5줄을 같이 출력 grep -A 5 "test" test.log test.log 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위 5줄을 같이 출력 grep -B 5 "test" test.log test.log 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위, 아래 5줄을 같이 출력 grep -A 5 -B 5 "test" test.log #02. UNIX 환경 AIX7.1 로 테스트 하였음 참고 글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685678/advanced-gr..
[UNIX/LINUX] 실행 중인 java 프로세스 확인 명령어 #. jcmd 명령어 jcmd 명령어를 실행하면 실행중인 자바 프로세스 목록 출력됨 프로세스 별 pid도 함께 출력된다
[Linux/Unix] tail -f 로 출력되는 내용을 별도 파일에 write 하기 로그 파일 사이즈가 과도하게 클 경우, vi로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FTP로 윈도우 환경에 다운로드 받아 에디터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FTP 사용이 불가할 경우에는, 서버 내에서 확인하는 수 밖에 없다. 이러할 경우에, tail -f 로 출력되는 내용을 별도 파일에 write 하여 적당한 파일 크기로 만든 후 vi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예시) 로그 파일 끝부분으로부터 8000줄을 별도 파일에 write 하기 tail -8000f ****.log > 20220309_log.txt 실제 사용 예시 vi 에디터 내에서 set number 명령어를 실행한 화면. 총 100줄이 기록된 것이 확인된다.
Linux / Unix 환경에서 crontab 사용 시 경로 관련 유의사항 crontab 통해 특정 shell 스크립트를 실행할 시에 상대경로로 지정되어 있는 파일을 정상적으로 찾지 못할 수 있다. 해당 부분에 유의하여 crontab 설정해야 함. => cd 명령어로 디렉토리 이동시킨 후 특정 파일 실행 => 절대경로 사용 crontab 에러 발생시 메일 로그 확인 /var/spool/mail/{유저명}
VM - Linux 저장공간 증설 VM 용량 증설 Window의 VM의 경우 cmd를 열어서 일단 볼륨을 증설시켜줘야한다. 해당 VM 접속 df -h 로 현재 size 확인 fdisk -l (영어 L임) fdisk /dev/sda reboot pvreszie /dev/sda2 pvscan (반영여부 확인?) lvextend -l +100%FREE /dev/mapper/ol-root(로컬 볼륨의 사이즈가 바꼈고 성공적으로 인식됐다고 메시지가 뜸) (mapper 경로가 자동완성으로 안찾아지는 경우가 있음. 임의로 기입해야됨) (ol-root 이름의 경우 사용자에 따라 다른듯 찾아서 입력할것) (증설되어 사용가능해진 저장소 용량을 논리볼륨에 매핑한다. 이때 사용가능한 모든 용량 매핑(100%FREE)) lvextend -r -l +100%FR..
알아두면 유용한 명령어 #세션 멈추기 TMOUT=0 #시스템 정보를 출력 uname -an #현재 접속한 계정 id #내가 사용했던 명령어 찾기 1. set -o vi 2. esc -> / 3. 찾기 #활성화된 포트번호 확인 netstat -an|grep LISTEN